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대통령실 출입하는 송찬욱 기자 나와있습니다. <br><br>Q. 오늘 한일중 정상회의가 4년 5개월 만에 열렸습니다. 역시 북한에 있어서는 의견 통일이 안 된 거죠?<br> <br>오늘 발표된 한일중 공동선언문, 문구를 보시면 고민이 고스란히 묻어납니다. <br><br>역내 평화와 안정, 이건 미국을 겨냥한 중국에 방점을, 한반도 비핵화는 우리 한국, 납치자 문제는 일본이 강조하고 싶은 사안들이 각각 적혀 있죠. <br> <br>3국이 합의한 결론은 '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을 위한 긍정적 노력을 지속하기로 한다' 정도 입니다.<br> <br>진전된 내용을 도출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죠. <br> <br>중국은 북한 문제에 대해서는 표현 하나하나 예민한 모습도 보였습니다. <br><br>중국 통역사는 리창 총리가 기자회견에서 '관련 측이 자제를 유지하고'라고 발언했다고 통역했는데, 중국 외교부는 이를 '모든 당사자가 긴장 완화에 전념하며'라고 수정하기도 했습니다.<br><br>Q. 그런데 방금 북한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어요? <br><br>조금 전 북한 외무성이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> <br>북한은 "묵과할 수 없는 모독이며 선전포고"라면서 "비핵화는 힘의 공백을 의미하며 전쟁의 재촉을 의미한다"고 했습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"누구든지 우리에게 비핵화를 설교하면 가장 엄중한 주권침해 행위로 간주될 것"이라며 오늘 정상회의에 참석한 중국도 겨냥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어제 한중 회담에서 양국 외교부와 국방부가 참여하는 2+2 대화 협의체를 가동하는 등 가까워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도 하고요. <br><br>대통령실 관계자는 "한중 관계가 새로운 균형점을 찾으면서 북한에 대한 중국과의 협조에 진전을 이룰 수 있을지 모색 단계"라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중국과의 접점을 서서히 늘려보겠다는 것 같은데, 북한이 경계심을 보인 것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><br>Q. 그러면 미국과 또 껄끄러워지는 것 아닙니까? <br><br>사실 우리 외교가 어려운 이유죠. <br> <br>한중 정상회담을 통해 한중 FTA 2차 협상 재개하기로 했죠. <br> <br>정상회의 계기로는 공급망 협력 강화를 위해 한일중 3국 FTA 협상도 재개하기로 했습니다. <br><br>우리 입장에서는 한류 문화 콘텐츠가 중국에 진출할 수 있다면 경제에 큰 도움이 될 거라고 보고 있고요. <br> <br>공급망 관련해서 요소수 사태 등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반면 중국은 한미 간 밀착을 견제하고, 반도체를 비롯해 미국의 대중국 수출 제재 속에서 탈출구를 모색할 수 있습니다.<br> <br>정부 고위 관계자는 "우리에게 기준은 국익"이라면서 "미국이 좀 껄끄러운 대목이 있을 수 있지만 충분히 설명 가능하다"고 하더라고요. <br><br>Q. 이런 분위기 속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한국을 방문할지도 관심이에요?<br> <br>우리 정부는 내년 한국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 시 주석이 참석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><br>시 주석은 2014년 7월 박근혜 정부 때 한국을 방문한 게 마지막입니다. <br> <br>11년 만의 방한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입니다.<br> <br>하지만 정부 고위관계자는 중국에 시 주석 방한을 매달릴 생각은 없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문재인 정부처럼 중국에 매달리지 않았지만 결국 중국이 이번에 한국과 협력에 나서지 않았냐며, 우리는 원칙대로 당당하게 할 것이라고 하더라고요. <br><br>Q. 기시다 일본 총리와도 올해 처음 만났는데 분위기는 어땠어요? <br><br>일본과는 계속 좋은 관계를 유지할 것 같습니다. <br> <br>국내에서 논란이 컸던 라인 야후 사태도 한일 정상 차웜에서 더 이상 경영권 문제를 제기하지 않기로 정리됐습니다.<br> <br>올해 안에 한미일 정상회의가 다시 열릴 수 있을지도 관전 포인트가 되겠습니다. <br><br>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송찬욱 차장이었습니다.<br /><br /><br />송찬욱 기자 song@ichannela.com